★★★ 오늘의 질문
당신에게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참고할 멘토는 누구인가요?
- 3년 후 당신의 커리어를 위해 갖춰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요?
- 역량별로 당신이 참고할 멘토는 누구인가요?
- 그들을 멘토로 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
리더는 답을 내주는 사람이 아니다.
답을 내도록 이끄는 사람이다.
by 홍의숙, 리더의 마음
-----------------------------------------------
얼마 전에 구글의 매니저로 일하는 조용민 님의 세바시 강의를 보았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저와 같은 회사를 다녔다는 점 외에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저는 한달커리어발견을 시작하면서 다양한 분야 리더들의 책과 강의를 찾아 공부하고 있습니다. 보배님들이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커리어를 발견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싶기 때문입니다.
오늘 보배님들에게 드리는 질문은 조용민 매니저가 자기 삶에 적용한 방법입니다. 저역시 오래 전부터 멘토 리스트를 가지고 있었는데요. 한참을 생각해봐도 구글에서는 이 방법을 배운 기억이 없는데 조용민 매니저가 저와 같은 방식으로 배우며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습니다. 좋은 질문을 떠올릴 수 있게 해 준 조용민 매니저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참고영상
www.youtube.com/watch?v=lyZx72FwBmY&feature=youtu.be
사람은 성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합니다. 이때 구체적인 목표점이 있다면 조금 더 수월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내가 원하는 분야에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역량을 발휘하는 사람을 멘토로 삼는다면 그 자체만으로 이미 배움은 시작됩니다. 성공한 많은 사람들이 저마다 자기만의 멘토를 갖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언젠가 대학원 은사님께서 삶과 일에서 성공하기 위해 좋은 멘토를 구하라고 말씀하신 기억이 납니다. 저는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분야별로 존경하는 멘토들의 리스트를 만들었습니다. 원한다고 해서 모두 내 멘토가 될 수는 없죠. 그렇지만 어떻게든 연결되어 멘토로 삼을 수만 있다면 이미 성공에 절반은 다가선 것입니다.
멘토를 설정하는 기준은 각자 다를 수 있습니다. 조용민 매니저처럼 저 역시 이론가보다는 실천가 멘토를 존경합니다. 아무리 그럴듯한 말도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으니까요.
오늘은 3년 후 커리어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데 도움을 줄 나만의 멘토를 찾는 날입니다. [ 상상하기 ] 단계의 마지막 질문이기도 하죠.
내일부터는 [ 계획하기 ] 단계로 넘어갑니다. 어쩌면 각 단계마다 조금 더 깊게 파고들고 싶은 아쉬움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이번 한달커리어발견은 커리어의 첫 단추를 끼울 수 있도록 도와드린다는 마음으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함께하는 보배님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를 전합니다. 오늘도 파이팅!
Write Yourself.
Share Yourself.
Love Yourself.
★★★ 리더님의 예시 글
[ 당신에게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참고할 멘토는 누구인가요? ]
내가 꿈꾸는 3년 뒤의 커리어를 이루기 위해서는 발전시켜야 할 중요한 역량이 많이 있다. 그중에서 6가지를 골라 각각의 역량을 성장시키기 위해 도움을 받을 멘토를 선정했다.
1. 문제 해결 멘토 : 류재언 변호사, 김선숙 대표, 나의 두 딸.
2. 커뮤니케이션 멘토 : 박재희 님, 김재홍 부사장, 어머니
3. 리더십 멘토 : 최원준 대표, 김종윤 대표, 홍의숙 대표, 박진영 대표,
4. 운동 관리 멘토 : 김정은 대표, 숨 쉬는 고래, 요가 소년.
5. 개인 브랜딩 멘토 : 유재석 님, 이효리 님, 이슬아 작가, 이진선 코파운더
6. 전략적 마인드 : 하대석 기자, 김영미 대표, 송지은 대표, 심영철 이사.
이분들은 모두 이론가가 아닌 실천가다. 이 중 몇 분은 내가 원할 때 만날 수 있고, 직접 대화를 나누며 가르침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박진영 대표, 유재석 님, 이효리 님은 공인들이다. 당연히 그들은 나를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멘토로 선정한 이유는 책이나 방송, 공연 등에서 보이는 모습을 통해 충분히 배울 점이 많기 때문이다. 개인 브랜딩 멘토 이효리 님은 방송과 인터뷰에서 언제나 자신을 솔직하게 표현한다. 그녀의 당당한 자신감을 배우고 싶다.
대부분의 내 멘토들은 일에서 만난 분들이라 다방면으로 큰 힘이 되어주신다. 특히 운동 관리 멘토로서 존경하는 파우더 룸의 김정은 대표는 바쁜 시간 속에서 하루도 거르지 않고 운동을 한다. 자신을 사랑하고 관리하는 운동 관리의 정석을 실천으로 보여주는 분이다.
이렇게 적다 보니 예전에 멘토로 선정했던 분들과 오늘의 리스트가 조금은 달라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멘토 리스트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한달어스를 시작하면서 알게 된 이진선 님은 이번에 꼭 멘토로 모시고 싶어 리스트에 업데이트했다. 현재 진행형으로 자신을 성장시켜나가는 모습과 열정이 특히 개인 브랜딩과 관련해 많은 영감을 준다.
현재 내 삶과 일 속에서 가깝게 영향을 주는 멘토들. 내가 진정 사랑하는 사람들이다.
www.youtube.com/watch?v=lyZx72FwBmY&feature=youtu.be
아침에 공유해 주신 영상을 5분만 보고, 제가 해야할 숙제가 있어서(공감대화 과정) 책을 읽느라 다 못보았습니다.ㅜㅜ 애들재우고 세바시 영상을 마저 보니 이제야 방향이 잡힙니다. 리더님께서 오늘 이 질문을 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멘토"의 뜻을 이제야 선명하게 알게되었습니다. 그리고 조용민 님의 조언대로 멘토 풀을 꾸준히 관리하고 닮고자 실천하는 사람이 되려 합니다.
조용민(구글코리아 매니저)님의 세바시 영상에서 말씀하신 중요내용을 기억하고 싶어서 옮겨 봅니다.
삶을 변화시켜야 또 나의 소양(역량)들이 늘어나잖아요.
그리고 삶을 혁신시켜야 또 그런 배움에 대한 그런 가치들이 극대화 되는 것이죠.
여러분들, 가장 삶을 변화시키고 혁신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일까요?
바로 독서처럼 시청각으로 임팩트를 많이 주는 것들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시청각으로 가장 임팩트가 좋은 교재 뭐가 있을까요?
이 지구상에 시청각으로 가장 임팩트가 좋은 교재는 사람입니다. 사람, 그쵸?
그래서 멘토를 보면서 배우면 그 사람처럼 닮아간다고 하죠.
그리스 신화에 보시면은 오디세우스라는 명장이 있었는데 그 명장이 전쟁에 나가기 전에 아들을 자기 친구한테 맡깁니다.
내가 지금 전쟁에 나가야 되는데 이 아이를 폭풍성장 시켜다오. 이렇게 얘기합니다.
20년 후에 오디세우스가 돌아왔는데 아들이 너무 잘 성장해 있는거에요.
여러분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실 이 오디세우스 친구의 이름이 뭐냐 라는 겁니다.
이 친구의 이름이 멘토르입니다. 그래서 멘토(Mentor)의 어원이 됐습니다.
그때부터 굉장히 좋은 배움의 방법론으로 쓰였던 것이 멘토입니다.
근데 멘토 다 좋다는거 우리 모두가 알고 있거든요. 선조 때부터 쓰였으니까요.
멘토를 활용하는 방법론도 저는 독서처럼 개인에게 맞는 멘토 활용법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조용민님의 멘토 활용법
1. 자신이 키우고 싶은 역량별로 멘토 풀(Mentor pool)을 관리합니다.
2. 멘토를 선정할때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분을 선정합니다.
당신에게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참고할 멘토는 누구인가요?
한달커리어발견 6일차에서 제가 키우고 싶은 핵심 역량을 찾아보았기에 이 역량을 토대로 하고, 업무수행 역량, 리더쉽 역량을 추가해보았습니다. 생각해보니 닮고싶은 멘토들이 많습니다.
★ 자기관리 역량
1. 제임스 클리어.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의 저자,
김유진 변호사 <나의 하루는 4시 30분에 시작된다>의 저자
대런 하디<인생도 복리가 됩니다>의 저자
(사소한 습관부터 시작하여 꾸준히 성장해온 그의 경험을 읽으며 존경하는 마음이 들었다. 그의 책은 내 인생책이다. 아주 작은 습관을 계속해서 실천하며 그를 닮아가고 싶다.)
2. 안수정 언니
(속초에서 아파트 주민으로, 한살림 모임에서 알게된 언니. 인생선배로, 엄마선배로, 자기관리 면에서 특히! 배울점이 참 많은 멋진 언니다.)
3. 수면과학자이자 수면책을 쓴 작가님 세 분: 매슈 워커, 니시노 세이지, 사토 도미오
(수면기록 프로젝트를 하면서 수면에 관한 책 네 권을 읽었다. 모두 자기관리를 잘 하시는 분들이고, 자신을 사랑하고, 꾸준히 노력하는 실천가들이다. 다른이들의 건강도 걱정하며 대중을 위한 책을 쓰신 고마운 분들이다.)
★ 업무수행 역량
1. JNH 차석님
(현재 내 옆자리의 멋진 주무관님, 우리학교에 없어서는 안될 든든한 기둥이시다. 업무를 꼼꼼하고 빠르게 해내시고 성격도 좋으셔서 배우고 싶은 부분이 참 많다.)
2. KHK 행정실장님
(현재 우리 실장님, 솔선수범의 아이콘이시다. 나도 업무능력을 배우고 싶고, 그분의 인품을 닮고 싶다.)
3. 어머니, 아버지
(살림꾼 우리 어머니, 전 은행지점장님이신 우리 아버지, 두분은 지금 포도 농사를 멋지게 운영하고 계신다.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에게는 맏아들 맏며느리, 두분은 지혜롭게 우리 가족을 이끌어주신다.)
★ 분석력, 디지털활용 역량
1. 이재포 선생님
(디지털 교육 공동체 '소요' 이사장님. 매일 쓰시는 글들을 읽으며 본받고자 노력한다. 부모교육을 하시고, 아이들도 만나시는 모습에서 기쁘고 감사함을 느낀다. 조언해주신대로 디지털 역량을 꾸준히 키워야겠다.)
2. 고현희 선생님
(공감대화 개발원 원장님. 세상과 사람을 보시는 세심한 눈길이 느껴진다. 문제의식을 가지시고 실제로 대안을 만들어내고 실천해내시는 분이다. 분석력, 꼼꼼함과 열정을 본받고 싶다. 디지털도 충분히 활용하시는 점과 강의법을 둘다 따라하면서 많이 배우고 싶다.)
★ 의사소통 역량
1. 고현희 선생님
(우리나라에서 공감대화를 가장 잘 실천하시고 열정으로 강의하시는 분이라 생각한다. 선생님을 닮기 위해 노력하다보면 나도 조금씩 성장할수 있으리라 믿는다.)
2. 안수정 언니
(공감대화로 만나는 사람들에게 기쁨과 웃음을 주는 언니, 언제든 연락할 수 있는 언니가 계셔서 정말 든든하고 감사하다.)
3. 우리 은방울 남매(은후,은하)
(공감대화를 배우는 엄마지만 많이 부족함에도, 아이들은 해맑게 참 잘 자라준다. 내가 아이들 몸을 키우는 것 같지만, 내 마음은 우리 남매가 키워주는 것 같다. "엄마 슬퍼요?" "엄마가 ~해주면 얼마나 좋을까?" 와 같이 공감대화를 쏙쏙 받아들이고 자신의 말로 표현하는 아이들, 내가 배울 점이 많다.)
★ 리더쉽 역량
1. 어머니
(리더쉽은 우리 엄마가 최고다! 우리 가족의 기둥이시고, 살림꾼이시고, 다정한 말 한마디로 사람들을 이끄신다.
엄마에게 배우고 싶은 점은 솔선수범하는 리더쉽, 요리, 살림하는 방법이다.)
2. 김남준(RM.랩몬스터)
(그의 노래가 좋고, 그의 춤과 몸짓이 좋고, 그의 말이 좋다. BTS멤버들을 이끄는 리더쉽이 궁금하다. 응원하는 마음으로 그들을 지켜보고 음악을 즐길것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열중하고 다른 이와 나누려는 노력들을 배우고 싶다.)
와, 제게 이렇게 많은 멘토들이 계셨네요. 정말 감사하다는 생각듭니다.
이 멘토 풀을 내 노트에 적어서 계속 떠올리고 업데이트도 해야겠다고 다짐합니다. ^^
한달커리어발견을 안했으면 어쩌나 아찔합니다. 좋은 질문지와 예시글, 영상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달커리어발견]19일차. 나에게 필요한 것과 버려야 할 것. (0) | 2020.11.19 |
---|---|
[한달커리어발견]18일차. 나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은? (0) | 2020.11.18 |
[한달커리어발견]16일차. 3년 후인 지금 당신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1) | 2020.11.16 |
[한달커리어발견]15일차. 내가 가장 좋아하는 글. (2) | 2020.11.15 |
[한달커리어발견]14일차. 직업관의 6가지 요소중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2) | 202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