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우리가 뒤로 미루고 싶은 유혹을 가장 크게 느끼는 과제들은 일반적으로 두 조건을 충족한다. 하나는 우리가 그것을 즐기지 않는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그것을 꼭 지금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조금만 기회가 생겨도 우리는 하기 싫은 것을 뒤로 미루고 (종종 그것이 무슨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대해 별다른 생각도 없이) 재미있는 것을 즐긴다. 한마디로 말해 뒤로 미루기는 미래를 깎아내리기, 즉 현재에 비해 미래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경향과 쾌락을 편리한 나침반으로 사용하기 사이의 사생아다.
우리는 정신을 딴 데 두거나 일을 뒤로 미루거나 우리 자신을 속인다.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자기 통제의 산에 오르기 위한 평생의 투쟁이다. 왜냐하면 진화는 우리에게 분별 있는 목표들을 세우기에 충분한 지적 능력을 주었으나, 그것들을 관철하기에 충분한 의지력은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개리 마커스, <클루지>
★내 생각
정말 오늘의 문장에 너무도 찔린다. 현재를 즐기기 위해서라는 핑계로 나는 해야할일을 미루곤 했다.
지금 해야만 하는 일이 아닐지라도 미래엔 더 큰 짐을 다가온다는 것을...나중에 하면 일처리가 더욱 느려지고 복잡할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자.
오늘의 문장!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자기 통제의 산에 오르기 위한 평생의 투쟁이다.
그리고 나도 문장을 만들어보았다.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자기관리'라는 산을 오르는 자신만의 기쁨과 성취감을 맛보는 것이다.
나는 자기 통제와 자기 관리를 평생의 화두로 삼겠다.
★필사
[아바매필9기] 13일차. 물가상승의 원인은 은행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자본주의 시스템 때문이다. <EBS다큐프라임, 자본주의> (0) | 2021.05.13 |
---|---|
[아바매필9기] 12일차. (어떤 일을 결정할때)한 가지 좋은 방법은 ‘잠시 기다리는 것’이다.<클루지> (0) | 2021.05.12 |
[아바매필9기] 10일차. 우리는 자기기만의 경향을 가지고 있다.<클루지> (0) | 2021.05.10 |
[아바매필9기] 9일차. 행복의 쳇바퀴는 우리를 계속 움직이도록 만든다.<클루지> (0) | 2021.05.09 |
[아바매필9기] 8일차. 보편성, 흥미, 공감을 주는 글을 쓰고 싶다.<보통의 존재> (0) | 2021.05.07 |